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장마, 예년과 얼마나 다를까? 전국 장마기간 총정리

by 달봉나루호 2025. 6. 17.
728x90
반응형

예년보다 빨라진 시작, 변동성 큰 2025년 장마 어떻게 될까?

2025년 장마는 예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나,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지역은 일찍 시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상청 발표와 기상 자료들을 토대로 올해의 장마 시작일, 종료일, 강수량 전망을 정리하고, 최근 10년간의 장마 특징과 비교해보며 효과적인 대비 방법까지 안내드립니다.

제주부터 시작되는 2025년 장마 예상 일정

2025년 장마는 제주에서 가장 먼저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6월 12일부터 비가 시작된 지역도 있습니다.
이는 평년보다 일주일가량 빠른 시점으로,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는 장마전선이 예년보다 일찍 북상한 경향이 있다고 분석됩니다.

중부지방은 평년대로라면 6월 25일 전후에 장마가 시작되며,
남부지방은 6월 23일 무렵 비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아래는 지역별 2025년 장마 시작 및 종료 예측표입니다.

지역 시작일 예상 종료일 예상

제주 6월 12일 7월 20일
남부 6월 23일 7월 24일
중부 6월 25일 7월 26일

올해 강수량, 국지성 폭우 우려 높아

2025년 장마는 평년보다 많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예보되었습니다.
특히 6월에는 평년보다 비가 많을 확률이 40%로 집계되었고,
7월과 8월에도 평년 수준 이상의 강수량이 예측되고 있습니다.

열대 서태평양과 북인도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은
남동쪽 고기압 발달과 남풍 유입을 유도해 비구름대를 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간당 30~50mm 이상의 국지적 폭우가 예상되며,
침수·산사태 등 재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온은 높고 습도는 강하다, 불쾌지수 주의

올해 여름은 단순히 비만 많이 오는 것이 아니라
기온도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의 월별 기온 예측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 평년 기온 2025년 예상

6월 21.1~21.7도 평년 이상
7월 24.0~25.2도 평년 이상
8월 24.6~25.6도 평년 이상

이처럼 2025년 장마기간은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며,
실내외 모두 높은 불쾌지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에어컨, 제습기, 환기 등의 활용이 중요해지는 여름이 될 전망입니다.


최근 10년 장마와 2025년의 차이점은?

장마의 길이와 강수량은 해마다 다르지만,
기상 조건이 유사할 경우 예측 범위 내에서 움직입니다.

최근 10년간 장마 통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중부 장마기간 평균 강수량(mm)

2014 6.28~7.16 (19일) 146.2
2018 6.26~7.11 (16일) 210.5
2020 6.24~8.16 (54일) 696.5
2023 6.25~7.26 (32일) 372.7

2020년과 같이 극단적으로 긴 장마도 있었던 반면,
2018년처럼 짧은 장마도 있었습니다.
2025년은 평균적인 길이와 많은 강수량이 동시에 나타나는 해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국지성 폭우가 만드는 새로운 장마 위험

장마의 새로운 특징은 "짧고 강한 집중호우"입니다.
전통적인 지속성 강우보다 몇 시간 만에
100mm 가까운 비가 내리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1. 도심 침수
  2. 하천 범람
  3. 농작물 침수
  4. 산사태

따라서 2025년에는 폭우 알림 서비스, 기상 앱,
지역별 대피소 정보 등을 사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장마철 실전 대비 팁, 이렇게 준비하세요

2025년 장마기간에 안전하게 대비하려면 생활 속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상청 예보 외에도 지역 방송, SNS 기상 알림을 함께 체크하세요.

다음은 장마철 실천 가능한 대비 방법입니다.

구분 대응 방안

주택 주변 배수구 청소, 모래주머니 비치
차량 이용 지하주차장 이용 자제, 배수로 확인
농가 및 시설 비닐하우스 보강, 침수 대비 배수 설비 확보
외출 시 우산 및 방수 신발, 우비 준비

야외 활동과 여행 시 주의사항

장마철에도 여행 계획을 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제주나 남부 해안지역은 장마 영향이 빠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다음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1. 출발 전 3일간의 지역별 예보 확인
  2. 항공·선박 운항 여부 사전 문의
  3. 우천 시 대체 가능한 실내 일정 준비
  4. 산간 계곡 지역은 철저히 피할 것

안전한 여행을 위해 날씨 정보 활용은 필수입니다.


2025년 장마는 예측 가능하지만, 유동성은 여전

2025년 장마는 예년보다 큰 틀에서는 비슷하나,
시작 시기와 집중호우 양상은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사전 대비와 실시간 기상 정보 확인은
장마철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올여름, 계획된 일정이나 활동이 있다면 지금부터 준비하셔야 합니다.

반응형